우리나라 최초 백과사전 대동운부군옥
pr1
우리나라 최초 백과사전 대동운부군옥
대동운부군옥은 조선 선조 22년(1589)의 문인인 권문해(權文海)가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입니다. 총 20권 20책이며, 현재 경상북도 예천군의 후손들이 초판본을 찍어낼 때 만든 목판을 소장 중입니다. 목판은 보물 제878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저자인 권문해가 대구부사(大丘府使)로 재직하던 1589년에 대구 지역에서 편찬한 백과사전으로 총 20권 20책, 1232엽, 2464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용한 사료는 삼국사기, 계원필경 등 한국 서적 176종과 기타 외국 서적을 합쳐 총 191종에 이른다고 합니다.
대동운부군옥 내용
이 책판은 순조∼헌종 때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임진왜란 이전 개인이 엮은 저서로서는 양적 또는 질적인 면으로 가장 우수한 대작이며, 그 보존상태도 매우 양호합니다. 고본은 비록 빠진 부분이 있어 완전하지는 못하나 “대동운부군옥”을 편찬하는데 바탕이 되는 자료인 점과 오랜 4백여 년 전해진 고본이란 점에서 매우 귀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대동운부군옥에서 권문해 단군 이래 편찬 당시까지 우리나라의 지리, 역사, 인물, 문학, 동식물 등을 망라하여 운별로 분류를 해놓았습니다. 그리고 그가 대동운부군옥을 편찬하면서 특히 우리나라의 자주성, 독립성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 독특합니다. 따라서 대동운부군옥은 운서(韻書)의 형식을 취하면서도 그 내용은 역사서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과거의 사실을 음운(音韻)에 따라 유형별로 정리하면서도 조선이라는 나라가 자주적 독립 국가였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한국의 각종 사서(史書)에서 그 근거를 찾아내어 이를 제시하면서 우리나라가 유지해 온 주체성과 자주정신, 자주의식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 그 특색이라 하겠습니다.
내용은 단군조선 시대부터 조선 선조 때까지 우리나라와 관련된 모든 사실들을 총망라하여 평성(平聲) 30운, 상성(上聲) 29운, 거성(去聲) 30운, 입성(入聲) 17운까지 총 106운으로 나누어 모아 놓은 방대한 사전입니다. 수이전 등 지금은 사라져 찾아볼 수 없는 문헌들의 내용이 많이 수록되어 가치가 매우 큽니다. 특히 원전을 인용할 때 저자가 내용을 취사선택하거나 새로 문장을 만들어내지 않고 원전 내용을 충실히 그대로 기록하였기 때문에 고서 연구에 더욱 큰 보탬이 되는 자료입니다. 노옹화구, 죽통미녀, 김현감호 등 우리나라 고유 요괴에 대한 내용이나 선덕여왕 지귀설화에 대해 자세히 기록된 최초의 서적으로, 현대에도 류·차 논란에서 연안 차씨 쪽의 주요 근거자료로 사용하는 등 사료로서 가치가 큰 책입니다. 또한 권문해 생전 16세기 당대의 한글 또한 많이 기록하여 국어 사적 연구에도 중요한 사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초간본을 찍어낸 책판 667판과 고본 3종 27책 분량의 목판이 현재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권문해는 대동운부군옥 외에도 초간일기 등을 남겼습니다.
대동운부군옥 번역본
2008년에 현대책 20권으로 번역이 완료되었다.
대동운부군옥목판 및 고본 보물 제878호
이것은 선조 22년(1589)에 권문해(1534∼1591)가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인『대동운부군옥』입니다. 권문해는 1560년 문과에 급제하여 내직으로 정언, 장령, 외직으로 안동과 대구의 부사와 공주목사 등을 지냈고, 후에 승지의 벼슬을 지냈습니다. 퇴계 이황에게서 학문을 배워 이름을 날렸고, 특히 역사에 정통하였습니다. “대동운부군옥”은 중국 송나라 음시부의 “운부군옥”의 체제를 본떠서 우리나라의 역사, 지리, 문학, 철학, 예술, 풍속, 인물 등의 분야에서 조선 명종 때까지의 모든 사항을 20권 20책으로 정리한 책입니다.
이 책판은 순조∼헌종 때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임진왜란 이전 개인이 엮은 저서로서는 양적 또는 질적인 면으로 가장 우수한 대작이며, 그 보존상태도 매우 양호합니다. 고본은 비록 빠진 부분이 있어 완전하지는 못하나 “대동운부군옥”을 편찬하는데 바탕이 되는 자료인 점과 오랜 4백여 년 전해진 고본이란 점에서 매우 귀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