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옥 난방인 구들

by alldc99 2023. 10. 4.
반응형

pr1

한옥 난방인 구들

한국의 전통적인 난방 시스템 중 하나인 구들온돌 즉 따뜻하게 데운 돌이라고도 하는데 한옥(한국 전통 가옥)에서 사용되는 온돌 방식의 난방 장치로, 특히 한국의 겨울철에 많이 활용되는 역사적이고 효과적인 난방 시스템입니다. 구들은 불 때는 아궁이, 불길을 통과시켜 구들장을 덥히는 고래,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으로 구성됩니다. 구들은 아궁이에 지핀 불이 고래를 통과하면서 그 위에 깔린 구들장을 덥히는 바닥 난방 방식으로 화재에도 안전한 한국 고유의 난방 시스템입니다. 구들의 한자표현이 온돌이라고 인식하기 쉬우나 온돌의 ''은 돌맹이와 같이 순수한국어를 한자로 차음하여 표현했을 뿐입니다. 구들과 온돌은 다 같이 순수한국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들의 역사와 기원

구들은 한국의 전통적인 난방 시스템으로, 우리나라에서 구들이 언제부터 설치되기 시작하였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습니다. 일부에서는 함경북도 웅기 지방의 청동기시대 움집에서 발견된 구들의 흔적을 예로 들기도 합니다. 초기 철기시대 이후에는 구들이 확실히 등장하였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나타나는데, 수원시 서둔동 움집터에서 발굴된 'ㄱ'자형 쪽구들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기원전 300년 이후 초기철기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구들의 구조와 작동 원리

구들은 아궁이와 연결된 고래와 굴뚝, 그리고 여러 개의 난방 구들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궁이 재질로 흙을 주로 사용하며, 불을 피우고 뜨거운 기운을 만들어냅니다. 연기관은 뜨거운 기운을 나머지 공간으로 유도하고, 난방 돌은 열을 저장하여 방 안을 따뜻하게 합니다.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은 구들장에 저장되어, 이어서 방 안의 공기나 벽 등에 열을 전달합니다. 돌이 가지고 있는 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방안으로 방출되며, 이렇게 방 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따뜻하게 데운 돌을 의미하나는 한국의 전통적인 난방 방식인 구들, 온돌의 구조

구들의 종류

구들의 종류는 아궁이와 부뚜막, 고래의 형식, 축조재료, 굴뚝 및 고래의 형식 등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고래의 형식에 따른 유형으로는 일자고래, 부채형고래, 맞선형고래, 된돈고래, 홑은고래, 혼응고래, 줄+홑은고래, 양파고래 등이 있다. 구들은 아궁이, 고래, 개자리, 연도, 굴뚝 등 각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아궁이와 굴뚝의 배치는 서로 먼 위치에 두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구들과 굴뚝을 연결하는 연도는 될 수 있는 한 짧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들 종류 아궁이, 부뚜막, 고래의 형식, 축조재료, 굴뚝, 고래의 형식에 따라 나눔

구들의 특징과 장점

구들은 돌에 저장된 열을 공간에 천천히 방출하여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높습니다. 구들은 흙과 돌이라는 자연 소재를 사용하여 건강에 좋은 효과를 제공합니다. 또한, 건조하지 않고 따뜻한 환경을 제공하여 피부 건강에도 도움을 줍니다. 전통적인 자연 소재를 사용하고, 연료로 목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난방 시스템입니다.

 

현대적인 변화와 발전

현대에는 구들과 전기난방 시스템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전기난방을 이용하여 구들의 열을 보조하거나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통적인 구들의 디자인도 현대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스타일과 재질을 활용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구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전통 가옥인 한옥에서 사용되는 구들은 매우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난방 시스템으로, 한국의 고유한 문화와 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현대에는 이러한 전통적인 난방 방식을 현대적인 기술과 결합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난방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통해 계속해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